비구조 내진설계
-
비구조 내진설계란?
비구조 내진설계는 건물의 주요 구조체(기둥, 보, 벽체 등)를 제외한 비구조 요소들을 지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설계 방식입니다. 지진 발생 시 비구조 요소의 낙하, 붕괴, 또는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2차 피해를 방지하고, 건물 내부의 안전성과 사용성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는 인명 보호는 물론, 건물의 기능적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설계 과정입니다. 도화기술은 첨단 기술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의 요구에 맞춘 최적의 비구조 내진설계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비구조 내진설계의 주요 대상 항목
비구조 내진설계는 건물 내부와 외부의 다양한 요소를 대상으로 하며, 지진 시 안전성과 기능 유지를 위해 아래와 같은 항목들에 대해 설계가 필요합니다.
- 천장 및 조명 시스템
지진으로 인해 천장재나 조명 기구가 낙하하면 큰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천장의 고정 상태와 조명 설비의 내진 고정 장치를 점검하고 설계합니다. - 외부 마감재 및 커튼월
건물 외벽의 마감재나 유리 커튼월은 지진 시 탈락 위험이 높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내진 접합 시스템과 유연한 설계 방식을 적용합니다. - 배관 및 덕트 시스템
소방, 급수, 공조 설비의 배관과 덕트는 지진으로 인해 파손되면 화재나 누수와 같은 2차 피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내진 지지대와 유연한 연결 부속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 전기 및 통신 설비
전기 패널, 서버, 통신 장비 등은 지진으로 인해 작동이 중단되면 건물의 핵심 기능이 마비될 수 있습니다. 내진 랙과 고정 장치를 통해 보호합니다. - 가구 및 내부 설비
책장, 파티션, 진열장 등과 같은 내부 가구는 지진 시 전도되거나 이동하여 안전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고정 장치 설치와 배치 설계를 통해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의 케이블이나 레일 시스템은 지진으로 인해 손상될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내진 설계 기준에 따라 보강 및 점검이 필요합니다.
비구조 내진설계의 중요성
비구조 요소는 건물 전체 무게의 약 20%를 차지하지만, 지진으로 인한 피해의 70% 이상이 비구조 요소의 손상에서 비롯됩니다. 특히 병원, 학교, 데이터 센터와 같이 중단 없는 운영이 필수적인 시설에서는 비구조 내진설계가 더욱 중요합니다. 도화기술은 각 항목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최적화된 설계로 고객의 안전과 자산을 보호합니다.
- 천장 및 조명 시스템